보은 클리닉 소개



정서행동장애

우울증

전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우울증의 유병률은 약15%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100명 중 15명 정도는 우울증을 한번 이상 앓을 정도로 우리 주변에 매우 흔한 병입니다. 소아 · 청소년에서도 우울증은 매우 흔하지만 그 양상이 성인과 달라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까지는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소아 · 청소년의 우울증은 성인에서처럼 심각한 우울감이나 흥미의 감소, 의욕저하 등의 증상보다는 짜증스러움, 사소한 자극에 민감함,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일탈행동이나 비행, 집단행동 등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쉽게 알아차리기 힘들기도 하고 "어린 아이들이 무슨 우울증이야?" 하는 식의 어른들의 반응으로 더욱 진단이 늦어지기도 합니다. 우울증은 자살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소아기 우울증의 특징

  • 신체적 증상, 초조, 우울증상에 동반된 환각, 무쾌감증, 무력증, 정신운동지연, 망상 등의 증상이 더 흔하다.



청소년기 우울증의 특징

  • ① 우울한 기분보다는 짜증이 많다는 것으로 표현된다.
    ② 자신감 저하와 자포자기로 '될 대로 되라는 식' 의 행동양상이 많다.
    ③ 충동성이 증가되어 사소한 자극에도 폭발하고 자해, 자살시도, 폭력 등의 행동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④ 공부를 게을리 하고, 학업성적이 부진하며 학업에 대한 흥미 상실, 무기력, 주의 산만 등을 보이며 등교를 거부하기도 한다.
    ⑤ 등교 거부, 학업성적의 저하, 친구들과 어울려 방황하거나 음주, 무단결석, 약물 중독, 가출, 성적 문란 등 문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청소년기 우울증은 우울증상 보다는 다른 행동문제가 우선하여 언뜻 보기에는 우울증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청소년기 우울증을 '가면성 우울증 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실제로 우울증 청소년의 부모들도 자녀의 우울증에 대해 우려하기 보다는 문제행동에만 초점을 맞추어 결과에 대한 책임부여와 처벌만을 강조하기도 한다.



우울증빈도 7%

2006년에 서울대학교에서 실시한 역학조사에 의하면, 부모가 답변한 자녀의 우울증 빈도는 약 2%였지만, 소아·청소년들이 보고한 자기 자신의 우울증 빈도는 약7%를 훌쩍 넘었습니다. 이는 보여지는 것과 실제 우리의 자녀들이 정서적으로 고통 받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소아 · 청소년 우울증의 치료적 접근

  • 심층면담이나 놀이치료를 통해서 정서적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적인 접근도 가능합니다.
    가족 문제가 심각한 경우에는 가족 환경에 대한 중재, 가족치료, 부부치료 등이 함께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문제행동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춘 처벌 위주의 대처는 더 큰 문제행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제행동을 눈감아주어서도 안되지만
    그러한 문제행동 이면에 감추어진 우리 아이들의 고통 받는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조울증

기분이 과도하게 들뜨는 조증이 우울증과 함께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처음에는 우울증으로 시작하였으나 경과 중에 조증 삽화를 보이기도 하고 우울증 없이 조증이 선행하기도 합니다. 조증은 과도하고 팽창된 기분으로 무리한 사업을 추진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돈을 쓰기도 하고 여러 행동장애를 수반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신체적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우울증이나 조증의 삽화가 나타나는 동안에는 매우 심각한 기능적 손상을 수반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광범위한 질환명으로 이유 없이 불안이 지속되는 범불안장애, 갑작스런 심계항진이나 호흡곤란, 죽을 것 같거나 미칠 것 같은 느낌을 수반하는 공황발작, 대인관계, 사회적 상황에서 심각한 불안증을 보이는 사회공포증(대인공포증, 무대공포증), 특정 대상, 예를 들면 거미나 뱀, 주사기 등에 대해 심한 공포감을 느끼는 특정공포증, 강박장애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고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장애는 가장 흔한 정신과 질환 중에 하나입니다.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도움이 됩니다.